본문 바로가기
가전제품 고장코드/LG 세탁기

LG 통돌이 세탁기 내부 냄새 제거 & 예방 가이드

by 멜로디투 2025. 7. 8.

 “LG 통돌이 세탁기 내부 퀴퀴한 냄새 제거법 – 통세척, 하수구 역류 점검, 습기·세제 관리법까지 한눈에 정리!”

 

 

세탁기에서 퀴퀴한 냄새가 올라오면 옷은 물론 집안 전체까지 찝찝해질 수 있습니다. 이러한 냄새는 위생 문제로 이어지며, 방치할 경우 곰팡이와 세균 번식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.

 

다행히 이 문제는 자가 관리와 정기적인 세척으로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. 아래 절차에 따라 단계적으로 실행해보세요!

냄새 원인 진단 → 통세척 → 환경 개선 → 예방 관리까지 모두 담았습니다!

 

냄새 발생 원인 & 증상

  • 세탁기 내부에 습기가 남아 있고 환기가 부족할 때
  • 고농축 섬유유연제나 비누·천연 세제 잔여물이 남아 있을 때
  • 오랫동안 통세척/통살균을 하지 않은 경우
  • 배수호스로 하수구 냄새가 역류하는 경우
  • 장시간 사용하지 않아 내부에 정체된 물과 먼지가 남은 경우

 

통세척 / 통살균으로 냄새 없애기

 

정기적인 세척(월 1회 권장)을 통해 냄새의 주요 원인인 찌꺼기와 세균을 제거하세요.

 

◎ 통세척 기능 있는 모델

  1. 세탁물을 모두 꺼냅니다.
  2. [전원] 버튼 누르기.
  3. [통살균] 또는 [통세척] 코스 선택.
  4. 권장량의 세탁조 클리너 뿌리기.
  5. [동작/일시정지] 눌러 실행. 완료 시 약 10초 후 자동 OFF.

통세척 기능 있는 모델
통세척 기능 있는 모델

 

◎ 통세척 기능 없는 모델

  1. 세탁조에 세탁조 클리너와 물(2/3 이상) 넣기.
  2. 2~3분 동작 후 전원 OFF → 2~4시간 불림.
  3. 다시 전원 ON 후 [세탁–헹굼–탈수]로 마무리 실행.

통세척 기능 없는 모델
통세척 기능 없는 모델

 

산소계 표백제 성분 클리너 사용 추천! 염소계는 부식 우려가 있으니 피하세요.

 

하수구 냄새 역류 점검

  • 배수호스를 하수구에서 분리한 후 세탁기 문 열고 냄새 확인
  • 냄새가 사라지면 하수구 역류 문제로 판단 가능
  • 전문 배관 청소 또는 하수구 청소제 사용 권장

 

환경/습기 관리 팁

  • 세탁기 사용 후에는 도어를 열어두어 내부 통풍
  • 화장실 같이 습한 곳에 설치 시 환풍기 가동 또는 창문 열기 권장
  • 장기간 미사용 시 내부 건조 후 문을 열어둡니다.

 

세제 사용 시 주의사항

  • 세제 및 섬유유연제는 권장량만 사용하고, 고농축 제품은 물에 희석해서 사용
  • 천연 비누 세제는 녹지 않고 찌꺼기 발생하니 피하세요

 

예방 관리 팁

  • 매월 1회 통세척 또는 통살균 프로그램 수행
  • 세탁기 사용 후에는 문을 30분 이상 개방하여 통풍
  • 습한 장소에서는 주기적 환기로 습기 축적 방지
  • 배수라인 점검 및 하수구 청소 주기 설정

 

FAQ

  • Q1. 통세척했는데도 냄새가 남아요.
    → 배수호스를 빼서 하수구 냄새 여부 확인 및 추가 청소 필요할 수 있습니다.
  • Q2. 청소제랑 물만 넣고 통세척하면 되나요?
    → 클리너와 충분한 물이 세균 제거에 가장 효과적입니다. 염소계는 피하고 산소계 권장!
  • Q3. 습기 있는 장소에 두면 다시 냄새 나나요?
    → 네, 환기 없으면 냄새가 재발할 수 있으니 습도 관리가 중요합니다.

 

결론 요약

  • 냄새는 찌꺼기·세균·습기·역류 등 다양한 원인이지만, 대부분 자가 관리만으로도 해결됩니다.
  • ✔ 통세척 → ✔ 통풍 → ✔ 세제 적정량 사용 → ✔ 습기 관리 순으로 시행
  • 예방 수칙을 지키면 냄새 걱정 없이 쾌적하고 위생적인 세탁기 사용이 가능합니다.

쾌적한 세탁 생활을 위한 첫걸음, 바로 지금 실천해보세요!

 

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북마크 또는 공유 부탁드리며, 궁금한 점은 댓글로 남겨 주세요!

 

LG 통돌이 세탁기 내부 냄새 제거 & 예방 가이드